한참이 된듯한데 맘먹고 야생화 담아본지도
이러다감각 다읽어버리는거 아닐까 염려가 되기도 하고 해서 담아본 앤들...
동자꽃에 대한 전설은 다들 아실것 같아 설명드리지 않으려 하네유
동자꽃에 한마리 커다란 벌...
슬픈 동자승의 사연 때문인지 동자꽃을 보노라면 늘 우수에 빠지게 하는꽃이지요
해오라기란의 모습
참으아리의 군락.
오늘은 이꽃에 전설에 대해 설명 해보려 하네유
이꽃을 구중궁궐꽃 이라 하는 전설이 있는꽃이라 하는 이유가 있지유
옛날 어느궁궐에 복숭아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 라는 궁녀가 있었는데
어느날 임금에 눈에 뛰어 하루밤 사이에 빈의 자리에 올라 궁의 한켠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그뒤로 어찌된일인지 그날이후 임금은 찾아오지않게 되었다네유.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가졋더라면 온갇 방법을 동원 하여 임금을 불러 드렸겠지만
그녀는 그러지못했나보네유 궁이 어떤곳이겠습니까?
빈의 자리에 오른이가 한둘이 아니 었겠지요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곳까지 밀려 기거하게된
소화는 그런 음모도 모른채 마냥 임금님이 찿아 오기만을 가다렸다네요.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다가 돌아가지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 너머로 처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 가고 있었다네유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지친 이불행한 여인은 상사병인지 영양실조인지
세상을 뜨게 되었다하네유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 하였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여인은 초상 조차 치루어지지 않은채
담장가에 묻혀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 라고 한 그녀의 유언을 시녀들은 그대로 시행했고
그 묻힌곳에서 이꽃이 피어났고
더운 여름이 시작되면 이꽃이 피어나듯
더운 여름 오갇 벌과 나비와 새들이 꽃을 찾아 날라드는데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멀리 밖을 보려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되었으니 그꽃이 능소화 란 꽃이지유
아무튼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많이 담장을 휘어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미는데 그꽃의 모습이 정말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하지유
한이 많은 탓일까 ?
아니면 한명의 지아비외에는 만나지 못하게 하려는의도 일까?
꽃의 모습에 반해 꽃을 가지고 놀면 꽃의 충이 눈에 들어 가면 실명을 할수도 있을많큼 독이있으니
조심해야 하고 눈으로만 감상 해야 하는 꽃이지요.
장미는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 답다 라는 듯이
능소화는 독이 있어 더만지고 싶은 아름다운 꽃이지유
가는잎 유홍초
하늘버전의 중나리
'여름에 피는 우리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으로 가는 덕유산의 어느 봉우리 에서 (0) | 2010.06.01 |
---|---|
휴가지에서 (매미탄생의 모습) (0) | 2009.08.19 |
물질경이 (0) | 2009.08.03 |
금꿩의 다리 (0) | 2009.07.21 |
19일 덕유산에서 (0) | 2009.07.20 |